고교학점제란 어떤 제도인가요?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 이수하고 누적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입니다.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는 제도입니다.
지금까지 고등학생들은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수업을 듣게 됩니다.
목표한 성취 수준에 도달했을 때 과목을 이수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학생이 성취한 등급에 상관없이 과목을 이수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이 목표한 성취수준에 충분히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과목 이수를 인정해줍니다. 따라서 배움의 질이 보장됩니다.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한 경우에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기존 고등학교에서는 출석 일수로 졸업 여부를 결정하였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누적된 과목 이수 학점이 졸업 기준에 이르렀을 때 졸업이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졸업이 곧 본질적인 학력 인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 학교에서 어떻게 운영되나요?
교육 과정 영역별단계별 선택이 가능한 학점 기반의 교육과정
진로 상담 학생특성 이해, 진로·진학·직업교육 및 상담
수강 신청 학생 수요를 바탕으로 수강 과목선택
수업 학생 참여형 수업(토론·실습) 운영, 학년 구분 없이 자유로운 과목 수강
평가 수업과 연계한 과정중심·교사별 평가, 성취평가제 적용
이수 미이수 보충 프로그램 제공
학점 취득 과목별 성취 기준 도달 시 학점 이수
졸업 학점 기준의 졸업 요건 설정
교사 : 1인의 교원이 전공 교과군 내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지도, 체계적 교원 수요 예측·수급으로 학생의 과목개설 수요에 따라 탄력적 교원 배치
시설 : 개설 과목 확대, 학생 참여형 수업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교실 및 학생들의 학교생활 지원을 위한 홈베이스·자율학습 공간 등 확보